1. interface vs type

type 정의 할 때, interface와 type 둘다 사용할 수 있다.

문과장님의 경우에는 api 통신하는 부분(ex. paper.ts)에서는 api 통신에 사용하는 파라미터임을 명시할 때는 interface로 정의하고,

일반 컴포넌트에서는 화면을 위한 타입(객체)라는 것을 명시할 때는 type으로 선언하여 생성한다.

이렇게 할 경우에 좋은 점은 명시적으로 interface, type만 봐도 api통신과 관련된 객체인지 화면을 위한 객체인지 단 번에 알 수 있음


  1. 코드 정리

항상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나서는 js doc을 사용한다. ex. // @description 컴포넌트 설명

현재 지금 구현할 때는 state와 useEffect, event 등 너무 뒤죽 박죽이라서 한눈에 찾기도 힘들다.

문과장님 경우에는

  1. global state
  2. state
  3. reference (useRef)
  4. router-info (useNavigation, useLocation)
  5. read-only (구조 분해 할당 한 data)
  6. event (onSubmit, onChange) --> event와 관련된 함수에는 on을 붙이도록 정함
  7. watch (useEffect)